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한 예선으로, 조별 리그 없이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총 47개 팀이 참가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 예선은 예선 라운드, 1라운드, 2라운드, 최종 예선으로 구성되었으며, 최종 예선에서 승리한 15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참가하여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고, 각 조 1위를 차지한 5개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며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겸하여 각 조 상위 3개 팀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2010년 7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진행되었으며, 53개 아프리카 축구 연맹 소속 국가 중 45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를 통해 본선 진출팀을 가렸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튀니지에서 12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잠비아를 꺾고 우승, 라시디 예키니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이집트에서 개최된 CAF 주최 국제 축구 대회로, 24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알제리가 우승을 차지했고 사디오 마네가 득점왕에 올랐다.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로마자 표기 | 2013 Nyeon Apeurika Neisyeonseukeop Yeseon |
기간 | 2012년 2월 29일 ~ 2012년 10월 14일 |
참가 국가 수 | 47개국 |
본선 진출 국가 수 | 15개국 |
이전 대회 우승국 | 잠비아 |
다음 대회 개최국 | 모로코 |
경기 결과 | |
총 경기 수 | 136경기 |
총 득점 수 | 346골 (경기당 2.54골) |
최다 득점자 | 히카르두 마울리시우 (6골) 무사 마아주 (5골) |
기타 정보 | |
관련 대회 |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 예선 방식
개최 주기가 1년 앞당겨져 예선 기간이 짧아진 관계로, 이번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 없이 모든 라운드를 플레이오프로 진행하여 본선 진출 팀을 가렸다.[19]
총 47개 국가가 대회에 참가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 나머지 46개 팀은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을 위한 경쟁을 펼쳤다.[18]
예선은 3단계의 녹아웃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대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러졌다.[18][19] 각 라운드별 승자는 두 경기의 합계 점수로 결정되었으며, 합계 점수가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규칙이 적용되었다. 원정 다득점 규칙으로도 승자가 결정되지 않을 경우, 연장전 없이 바로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가렸다.[1]
예선 방식은 다음과 같다.[18]
- '''예비 예선''': 랭킹 최하위 4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경기 승자는 1차 예선에 진출했다.
- '''1차 예선''': 예비 예선 승자 2팀과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진출하지 못한 26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경기 승자는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 '''최종 예선 (2차 예선)''': 1차 예선 승자 14팀과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진출한 16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경기 승자는 본선에 진출했다.
예비 예선 및 1차 예선 조 추첨은 2011년 10월 28일 적도 기니 말라보에서 진행되었다.[2] 2차 예선 조 추첨은 1라운드가 완료된 후 2012년 7월 5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진행되었다.[3]
2. 1. 예선 참가 국가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정회원국 중 개최국을 제외한 52개 팀이 예선에 참가할 예정이었다. 본래 리비아가 개최국이었으나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인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변경되면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예선을 면제받았다.[1]지난 대회 본선 진출 16개 팀은 최종 예선부터 시작하고, 본선에 진출하지 못한 팀들은 랭킹에 따라 시드를 배정받아 최하위권은 예비 라운드, 나머지는 1차 예선부터 시작했다.
참가 팀은 총 47개 팀으로, 예선에는 46개 팀이 참가했다. 예선 참가 팀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
최종 예선부터 시작 | 1차 예선부터 시작 | 예비 라운드 참가 |
---|---|---|
valign="top" width=20%| | valign="top" width=35%| | valign="top" width=20%| |
- 토고는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일어난 무장 괴한 총기 난사 사건으로 인해 기권하여 2012년, 2013년 대회 출전 금지 처분을 받았으나, 징계가 취소되어 정상 참가했다.[4][5]
- 모리셔스, 모리타니, 소말리아, 에리트레아, 지부티, 코모로는 불참을 선언했다.
- 남수단은 당시 FIFA 및 CAF 가입이 승인되지 않아 참가하지 못했다.
예비 라운드와 1차 예선의 대진표 추첨식은 2011년 10월 28일 적도 기니 말라보에서 열렸다.[2]
2. 1. 1. 최종 예선부터 시작하는 팀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했던 16개 팀은 최종 예선부터 시작했다.
2. 1. 2. 1차 예선부터 시작하는 팀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지 못한 팀 중 상위 26개 팀이 1차 예선에 참가했다. 해당 팀들은 다음과 같다.1차 예선 참가팀 |
---|
2. 1. 3. 예비 라운드 참가 팀
wikitext예비 라운드 참가 |
---|
valign="top" width=20%| |
스와질란드는 재정 문제를 이유로 기권하여, 세이셸이 자동으로 1차 예선에 진출하였다.[21]
1차 예선은 예비 예선을 통과한 2개 팀과 1차 예선부터 시작하는 26개 팀, 총 28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1차전은 2012년 2월 29일에, 2차전은 6월 15일~17일에 치러졌다.[20]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최종 라운드에서는 1차 예선을 통과한 14개 팀과 2차 예선부터 참여하는 16개 팀, 총 30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본선 진출 팀을 결정했다.[18] 각 경기의 승자는 두 경기의 합계 점수로 결정되었으며, 합계 점수가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규칙이 적용되었다. 원정 다득점 규칙으로도 승자가 결정되지 않을 경우, 연장전 없이 바로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가렸다.[1]
3. 예비 예선
'''상투메 프린시페'''가 합계 1 : 0으로 1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4. 1차 예선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에티오피아 1-1 (a) 베냉 0-0 1-1 르완다 0-2 나이지리아 0-0 0-2 콩고 공화국 3-5 우간다 3-1 0-4 부룬디 2-2 (a) 짐바브웨 2-1 0-1 감비아 2-6 알제리 1-2 1-4 케냐 2-2 (a) 토고 2-1 0-1 상투메 프린시페 4-5 시에라리온 2-1 2-4 기니비사우 0-2 카메룬 0-1 0-1 차드 3-4 말라위 3-2 0-2 세이셸 0-7 콩고 민주 공화국 0-4 0-3 탄자니아 2-2
(PK 7-8)모잠비크 1-1 1-1 이집트 3-4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2-3 1-1 마다가스카르 1-7 카보베르데 0-4 1-3 라이베리아 1-0 나미비아 1-0 0-0
포트사이드 경기장 폭력 사태로 인하여 이집트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경기는 1차전은 6월 15일로, 2차전은 6월 30일로 재조정되었다.[25]
5. 최종 예선
시드 점수는 지난 3개 대회(2008, 2010, 2012)의 전적을 기준으로 부여되었으며, 2012년 대회 전적에는 3배, 2010년 대회 전적에는 2배의 가중치가 적용되었다.[3] 조 추첨은 1차 예선이 완료된 후 2012년 7월 5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진행되었다.[3]
최종 예선에 진출한 팀은 다음과 같다.2라운드 부전승 팀
(2012년 대회 예선 통과팀)1라운드 부전승 팀
(2012년 대회 예선 탈락팀)
5. 1. 경기 결과
(PK 9 - 8) 우간다 1 - 0 0 - 1 3 - 2 카메룬 2 - 0 1 - 2 2 - 4 모로코 2 - 0 0 - 4 2 - 2 (a) 튀니지 2 - 2 0 - 0 1 - 2 니제르 1 - 0 0 - 2 5 - 5 (a) 에티오피아 5 - 3 0 - 2 0 - 3 알제리 0 - 1 0 - 2 A - A 세네갈 4 - 2 A - A 5 - 2 적도 기니 4 - 0 1 - 2 2 - 3 토고 1 - 1 1 - 2 2 - 3 부르키나파소 1 - 0 1 - 3